dependency injection
![[스프링]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에 대해 알아보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nH8fo%2FbtqS9Z77WPm%2FAAAAAAAAAAAAAAAAAAAAAB7MSLVO3KD1K6bRqaNL7pYbT9KLzdHChcAWYq6A4yZ0%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mtX4ZQQx159hDx9qGq7umTQjbZg%253D)
[스프링]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 포스팅은 D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의존성(Dependency)은 어떤 하나의 대상이 다른 대상에 의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는 B라는 객체를 부품으로 갖고 있습니다. 즉, A, B 클래스는 Has a 상속 관계입니다. 그렇다면 DI를 해야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DI를 하지 않으면 객체와 객체간의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객체를 바꿔 끼우는 과정에서 많은 수정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해를 위해 아래 예제를 보겠습니다. public class A { private B b; public A() { this.b = new B(); } public void printHello() { this.b.hello(); } } 위 코드와 같이 A 클래스에서 printHello 메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