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w1030
기록하는 공간
cbw1030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전체보기 (101)
    • Programming (99)
      • Java (19)
      • Servlet (10)
      • Spring Framework (13)
      • Javascript (22)
      • AWS (2)
      • 네트워크 (8)
      • 데이터베이스 (13)
      • 리눅스 (3)
      • 블록체인 (7)
      • 용어 정리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브라이틱스 스튜디오
  • 인공지능
  • 차원축소
  • Brightics
  • Brightics Studio
  • 생활코딩
  • beautifulsoup
  • 삼성SDS
  • 크롤링
  • web
  • react
  • 브라이틱스
  • 브라이틱스 스튜디오 사용법
  • 브라이틱스 튜토리얼
  • 데이터분석
  • 데이터 사이언스
  • javascript
  • Brightics AI
  • 삼성SDS 브라이틱스
  • 머신러닝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cbw1030

기록하는 공간

[블록체인] Bitcoin 트랜잭션 전송과 확인
Programming/블록체인

[블록체인] Bitcoin 트랜잭션 전송과 확인

2022. 2. 2. 19:11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이전 글에 이어 비트코인 송금을 통해 트랜잭션을 일으키고 확인해보겠습니다.

 

luna 노드의 address에서 pine 노드의 address에 25 비트코인을 송금해보도록 하자.

비트코인 송금을 위해서는 luna 노드는 address를 만들고 채굴을 통해 비트코인을 채워야 한다.

pine 노드도 비트코인을 송금받기 위한 address가 필요하므로 luna, pine 모두 address를 하나씩 만들어보자.

 

# luna 노드의 address 생성
bitcoin@DESKTOP-82KRV15:~/bitcoin/node3$ bitcoin-cli -rpcuser=luna -rpcpassword=luna -rpcport=1111 getnewaddress

# 생성된 luna 노드의 address
bcrt1qettlkccy5yxe6pnnchdncjr7ng5ypm38f9j3l9

# pine 노드의 address 생성
bitcoin@DESKTOP-82KRV15:~/bitcoin/node3$ bitcoin-cli -rpcuser=pine -rpcpassword=pine -rpcport=2222 getnewaddress

# 생성된 pine 노드의 address
bcrt1qtl69d5szefry4e7r9hwjxza5wxtsajfyd4yrh2

 

luna address에서 pine address에 25 비트코인을 송금해보자.

bitcoin-cli -rpcuser=luna -rpcpassword=luna -rpcport=1111 sendtoaddress "bcrt1qtl69d5szefry4e7r9hwjxza5wxtsajfyd4yrh2" 25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해시된 TX ID 값을 얻을 수 있다. (966be9204025c7150edc50b1925e69137c35b01448b4bce83dbb0134f3256df6)

 

해당 트랜잭션은 mempool에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위 명령어를 통해 mempool에 있는 tx를 조회할 수 있다.

 

이제 TX를 컨펌하고 블록에 넣기 위해서는 마이너가 채굴을 한 번 해야 한다.

채굴을 함으로써 블록 하나를 추가했다. 

블록 하나를 추가함으로써 luna 노드가 pine 노드에게 25 btc를 송금한 tx가 컨펌이 됐다.

 

 

getbalance 명령어를 통해 pine 노드의 address에는 25 btc가 잔고에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번 노드인 kim 노드에서 getrawtransaction 명령어를 통해 tx hash 값을 넣어 조회해보자.

 

 

인코딩되어 출력된 값을 디코딩하면 아래처럼 TX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vout에는 value가 24.99997180, 25.00000000 두 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트코인은 전자는 luna 노드의 address에 돌려주고(UTXO 특징) 후자는 pine 노드의 address에 전송된 것이다.

 

참고

https://ww w.youtube.com/watch?v=_5bjloFz7l8&list=PLZwFtgKc35I_ROUsSev0xcy5poVH486CV&index=8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Programming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Ethereum Geth 설치  (0) 2022.02.02
[블록체인] Bitcoin P2P Network 구성하기  (1) 2022.02.02
[블록체인] Bitcoin 지갑과 주소  (0) 2022.02.02
[블록체인] Bitcoin Core 실행과 Genesis Block  (1) 2022.02.02
[블록체인] Bitcoin Core 설치  (0) 2022.02.02
    'Programming/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블록체인] Ethereum Geth 설치
    • [블록체인] Bitcoin P2P Network 구성하기
    • [블록체인] Bitcoin 지갑과 주소
    • [블록체인] Bitcoin Core 실행과 Genesis Block
    cbw1030
    cbw1030

    티스토리툴바